Spring2 트랜잭션 전파(REQUIRED) COMMIT편 진행중인 트랜잭션 내부에 또 다른 트랜잭션을 실행하면 어떻게 될까? 이번글은 트랜잭션 전파에 대한 개념과 코드 예제를 통해 흐름을 알아보겠습니다.트랜잭션 전파 옵션은 여러개가 있지만, REQUIRED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트랜잭션 내부에 또 다른 트랜잭션을 실행하는 경우, 기존 트랜잭션을 사용해야할까요? 아니면 새로운 트랜잭션을 시작해야할까요? 트랜잭션 전파트랜잭션 전파는 현재 실행 중인 트랜잭션이 있을 때, 새로운 트랜잭션을 생성할지 기존 트랜잭션을 그대로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트랜잭션 전파는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될까요? 외부 트랜잭션이 수행중인 상태에서 내부 트랜잭션이 추가 수행되는 상황을 가정합니다. 왜 외부 트랜잭션, 내부 트랜잭션이라 부르나요?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있는 트랜잭션은 .. 2025. 2. 12. 트랜잭션과 Connection "트랜잭션과 Connection의 관계는 어떻게 될까요?" 이번글은 트랜잭션과 Connection에 대한 관계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트랜잭션 커밋과 롤백하는 상황에 Connection은 어떻게 사용될까요? 트랜잭션 커밋Spring에서 트랜잭션 커밋 은 트랜잭션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을 때, 모든 변경 사항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과정입니다. 트랜잭션을 커밋하는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package hello.itemservice.propagation;import lombok.extern.slf4j.Slf4j;import org.junit.jupiter.api.Test;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import org... 2025. 2. 11. 이전 1 다음